다시 원점부터 논의될 것으로 보인
페이지 정보

본문
다시 원점부터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김성환 장관이 7일 낙동강 유역 안동댐·영주댐·강정고령보와 경북 구미시해평취수장등 취·정수장을 방문해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과 관련한 의견을 듣는다고 밝혔다.
주목되는 점은 김 장관이 안동댐과해평.
대구시청 산격청사 [대구시 제공.
이번 방문은 대구·경북 지역 맑은 물 공급과 낙동강 녹조 문제.
고령보 등 낙동강 주요 수계와 인근 취·정수장을 방문해 녹조 발생 현황과 대응체계, 물 공급 여건 등을 직접 확인했다.
또해평취수장과 안동댐, 산업단지 인근 상수원 이용 실태 등을 종합 점검하며 대구·경북에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실질 방안을 모색했다.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관리 여건과 지역 의견을 직접 확인할 계획이다.
현재 대구·경북 취수원 이전 대책으로 구미해평취수장공동이용, 안동댐 활용 방안 등이 제안됐지만, 관련 지자체 간 이견으로 본격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여건을 살펴보고, 이어서 낙동강 녹조발생 현황과 대응태세를 점검할 예정입니다.
그간 대구-경북 취수원 이전 대책으로 구미해평취수장공동이용안, 안동댐 활용방안 등이 제안되었으나, 관련 지자체간 이견 등으로 현재까지 추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7일 낙동강 수계에 위치한 안동댐과 영주댐 등을 찾는다.
환경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안동댐과해평취수장을 방문해 낙동강 물 관리 여건과 상수원 이용 특성,취수장운영 현황 등 물 관리 전반을 점검한다.
또 맑은 물 확보를 둘러싼.
취수원 다변화와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실사 차원에서 진행됐다.
그간 대구·경북 지역의 취수원 이전 대책으로 구미해평취수장공동이용안, 안동댐 활용 방안 등이 제안됐으나, 지자체 간 이견으로 실질적인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관리 여건을 살펴보고, 이어서 낙동강 녹조발생 현황과 대응태세를 점검할 예정이다.
그간 대구-경북 취수원 이전 대책으로 구미해평취수장공동이용안, 안동댐 활용방안 등이 제안되었으나, 관련 지자체간 이견 등으로 현재까지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제기되는 사업장 이전은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종합적으로 검토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낙동강 수계에 위치한 안동댐과해평취수장은 맑은 물 확보를 둘러싸고 지역간 갈등을 겪는 곳이다.
영주댐과 강경고령보 주변은 녹조발생 해결이 시급하다.
- 이전글위한 의견 청취 간담회를 열 25.08.07
- 다음글', 줄기세포 면역치료 가능성 25.08.07